google-site-verification=q3s9N6XcfjZWtFTgmrp7fkgFrrn814fnd3MZ6-ua_1s 의류 제작 프로모션에서의 필수업무 (품질관리)
본문 바로가기
패션, 의류및 상식의방

의류 제작 프로모션에서의 필수업무 (품질관리)

by 라온과비비 2022. 9. 18.
반응형

1. 오더 진행방식에 두 가지 OEM, ODM 알아야 합니다 

어떤 분 야건 오더를 받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주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상표 생산방식이라 합니다 

주문자에게 오더를받아 생산해주고 그대로 모두 다시 납품해주는 방식입니다 

2) ODM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제조업자 설계 개발 생산방식

제품의 설계부터 개발 생산 등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제조사가 직접 해주는 방식입니다 

상품에는 주문자의 상표가붙기는하지만 기회부터 설계 디자인 제조 모두 맡아서 

해주는 방식입니다 

이두가지에 반드시 거쳐야하는 관문이 있습니다

품질에 대한 검수입니다 무엇이든 대량생산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것들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돈을 지불하고 브랜드 가치에 맞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량을 받는다면  신뢰도가 많이 떨어지겠지요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 고가에 물건도 리콜이라는 책임이 지어지고 경쟁시대인 지금 무엇이든 A/S 처리가 얼마나 빠르고 신속한지조차도 영업에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QC라고들 하는데 브랜드마다 다른 용어들을 쓰고 있어서 알아두어야 합니다 

 

2.QC(quality control)의 정의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품질관리 활동입니다 

우선 1차적으로 불량을 먼저 막기 위해(의뢰사)에서 샘플링 검사를 먼저 하는 것입니다

이미 대량 생산된 옷들에 문제가 생겨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는 수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통 초안 샘플부터 단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장에 작업 중인 옷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이과정은 의뢰사(브랜드)에 보고하는 형식입니다 

3.TQC(total quality control)

전사적 품질관리라 합니다 

생산자 입장에서 대량생산에 초점을 맞춰 품질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공장에서는 분업화되어있는 시스템에서 사람마다 다른 공정들을 맞고 

작업하시 때문에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완성됩니다

아무리 산업이 발전했어도 의류는 아직도 사람이 직접 작업해야 하는 부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완성된 옷은 처음 지시받은 작업지시서와 동일하게 나와줘야 합니다 

이 부분은 OEM이건 ODM 이건 상관없이 결과 치이기 때문에

자체 품질관리를 처음부터 끝까지 이뤄져야 합니다 

오더를 받은 입장에서 신뢰를 위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이사진은 봉재과정을 체크해서 수정지시를내려주는 과정이다 TQM 때 이런옷이 들어가서는안된다

4.TQM(total quality management)

티 큐엠은 철저히 소비자 입장에서 즉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실시하는 품질관리시스템입니다 

이과정은 대부분 검사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를 활용합니다 

일반 큐시나 티큐시보다는 좀 더 광범위하고 꼼꼼하며 체계적인 방법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1,000장이건 10,000이건 

사람이 (의류 검사원) 옷을 한 장 한 장 며칠이 걸려서라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전자제품이나 기계들은 검사하는 센서 기나 시스템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옷은 절대 그렇게 검사할 수가 없습니다 

사람이 눈으로 한 장 한 장 앞, 뒤 , 소매 등 봉재 상태와 원단 상태

마무리 상태까지 모두 보고 확인이 끝나야 확인 도장을 받고 

포장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옷을 구매하면  왼쪽 아랫부분에 소재 혼용률과 세탁방법을

기재해놓은 종이 같은 것이 붙어있습니다 

CARE LABLE이라  합니다 

이 부분에 이 옷을 검사한 업체가 검사 완료 도장을  찍어줍니다 

이과정을 PCS 검사라 고도합니다 

이때 큰 문제가 없어야 수월히 진도가 나갈 수 있으니 앞서 적어둔 

작업 중 랜덤 검사과정이 반드시 있어야겠지요 

이렇게 검사 도장이 찍히면 깨끗이 포장을 하고 마지막으로 해야 하는 

것이 또 하나 있습니다 

검침기로 옷에 이물질(금속, 바늘 등) 이끼어들어갔는지 

확인합니다 

봉재는 수작업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바늘 끝이 부러져 

옷감에 끼어들어갈 위험성이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그런 사고로 인해 문제가 생긴 일도 있고요

아주 작은 바늘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생명까지 위험했었던 사건이었습니다 

이사건은 국제적으로 문제가커져서 글로벌브랜드라 하면 반드시 검침기를사용하여 

바늘 이 옷에섞여들어가지않게 방지해야하는 의무사항이있습니다 

 

 

검사원들은 봉제된옷에 불량을 찾아내어 표시를 한다

반응형

댓글